삶의 전 영역을 돌아보는 통합적 접근을 통해 당신 혹은 당신 가족의 정신건강 회복을 돕겠습니다. 이민자의 독특한 문화를 이해하며, 영어 혹은 한글중 본인이 편한 언어로 상담 가능합니다. 가족/커플 상담에서는 필요에 따라 영어와 한글 두 언어로 동시에 진행을 합니다. 상담 분야는 아래와 같습니다.
*돌봄 가이드 컨설팅 제공 / Caregiver Guidance Provided
LPC-Supervisor (Texas State Board of Examiner of Professional Counselor, License #70302)
Education
Liberty University, Ph.D 수료, Clinical Counseling
Southwestern Baptist Theological Seminary, MA, Marriage and Family Counseling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MDiv
Inje University, BA, English Literature
Experiences
Current:
1.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MH Intensive Outpatient Hospital-based Clinic, Clinical Therapist
* MH-IOP 커리큘럼 셋업, 상담 및 관리
2. K-DFW Mental Health, Founder, Lead Therapist
* 상담사
Previous:
1. Niznik Behavioral Health, Dallas Branch, Clinical Director
* 알콜 및 마약 중독 달라스 브랜치 임상 디렉터
2. Metrocare Services, Early Onset Psychosis Program, Clinical Manager & Team Lead Therapist
* 청소년 (16세-30세) 조기 발병 정신질환 프로그램 임상 상담 및 관리
3. EPINET Research, partnered with UT Austin
* CSC (Coordinated Specialty Care) 모델을 이용한 조기 발병 정신질환 리서치
3. Baptist Counseling Center, Intern Therapist
* 인턴 상담사
사람은 "생각"과 "감정"의 상호작용으로 일상의 크고 작은 일들을 결정합니다. 정신과 약물은 "감정"을 조절하는 호르몬이나 화학적작용의 밸런스를 맞추는 것에 집중합니다.
반면에 상담은 일그러진 "생각"의 패턴이나 원인을 찾아내어 건강한 패턴으로 다시 정립하는 과정입니다. 이것을 생각의 필터를 청소하는 작업이라고도 합니다.
진통제 복용으로 잠깐의 통증을 없어지게 할 수는 있지만, 통증의 근본 원인은 치료할 수가 없습니다. 상담은 우울감, 긴장등 불편한 감정의 원인을 함께 고민하고 찾아 내어 내면의 성장을 이끌어내는 과정입니다.
많은 이민 1세대 부모님들이 자녀들과의 관계가 회복하기 힘들 정도로 나빠진 후 상담을 받으러 오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는 전문가가 아니기에 자녀가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인지 하기 어렵습니다. 정신건강은 피가 나거나 뼈가 부러지는 것과 같은 분명한 증표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부모들은 자녀들이 일반적인 사춘기라 여기며 대수롭지 않게 생각합니다.
10대 청소년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증상을 드러내고 도움을 요청합니다. 혹시 여러분의 자녀가 과도한 우울, 긴장, 스트레스, 공황 (panic), 등교거부, 대인기피, 새로운 도전에 대한 두려움, 부정적인 생각의 반복, 무기력증, 혹은 약물의존등의 증상을 보인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요청하셔야 합니다. 많은 리서치 자료에 의하면 전문가의 빠른 개입이 10대 청소년들에게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전미정신건강협회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에서 2019년에 시작한 리서치 (EPINET)에 의하면 청소년의 경우 15세 전후로 전문가들과 연결이 되어 정신건강에 대한 관리가 시작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건강하지 못한 생각이나 행동의 패턴이 각인이 된후 그것을 치료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입니다.
* Early Psychosis Intervention Network (EPINET) -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NIMH) (nih.gov)
가족은 일종의 팀 경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팀이 경기에서 승리하기위해서는 규칙을 지켜야하고, 약속된 전략과 전술을 모든 팀원들이 숙지하고 필요한 순간에 그 전술을 펼쳐야합니다. 그리고 반복되는 훈련과 연습을 통해 팀은 더 단단해지며, 개개인은 성장을 하게됩니다.
가족상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러한 팀경기의 원리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입니다. 함께 살고 있는 가족 구성원은 나의 적이 아니라 함께 경기를 치루어 나가야 하는 같은 팀원입니다. 모든 프로팀에 코치와 감독이 있는 것처럼
가족이라는 팀에도 전문가의 티칭(teaching)과 코칭 (coaching) 필요합니다.
부부 상담의 가장 중요한 핵심은 "커뮤니케이션"입니다. 문제가 많아서 힘든것이 아니라 그 문제들을 풀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힘이 든것입니다. 저희 클리닉에서는 부부가 가지고 있는 문제들을 풀어드리는 것이 아니라, 남편과 아내 스스로가 문제를 풀수 있게 도와드립니다.
K-DFW MH에서는 한달에 한번, 혹은 격주 간격으로 그룹 카운셀링을 진행합니다. 이는 단순한 서포트 그룹이 아닌 전문적이고 임상적인 (clinical) 그룹 카운셀링입니다.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배우고 질문하며 나누고 서로 격려하는 과정을 통해서 회복을 경험하게 될것입니다.
** 그룹 카운셀링 주제와 날짜는 홈페이지 메세지를 통해 문의 바랍니다.
Please reach us at kdfw.mentalhealth@gmail.com if you cannot find an answer to your question.
K-DFW MH는 Out of Network Provider입니다. 가입하신 보험회사의 "Out of network claim form"을 가져오시면 상담비용을 reimburse 받으실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본인의 보험회사에 문의 하셔서 out of network 카운셀링 allowance 가 얼마인지 알아보시길 권해드립니다.
현재 UT Southwestern Medical Center 에서 시행되고 있는 MH-IOP의 커리큘럼을 이창하 (Changha Martin Lee, LPC-S) 상담사가 셋업을 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K-DFW MH 클리닉에서는 한글이 편한 한국분들을 위해 동일한 커리큘럼으로 하나의 주제를 가지고 60분 동안 집단상담을 진행합니다. 궁금하신 분은 웹사이트를 통한 메세지, 전화 혹은 이메일로 연락을 주시기 바랍니다. 커리큘럼은 아래와 같습니다.
K-DFW MH는 상담을 전문으로 하는 카운셀링 클리닉입니다. 환자의 궁극적인 치료를 위해 대다수의 의사들도 약물과 상담을 병행하기를 권하고 있습니다. 상담을 받으시면서 약물의 도움이 필요하시다면 주변의 Psychiatric 클리닉으로 리퍼를 해서 처방으로 받으실 수 있도록 도와 드립니다.
전화 혹은 이메일로 연락주세요. Feel free to contact us for any inquiries.
14275 Midway Road, Suite# 200, Addison, Texas 75001, United States
Call 214-238-5235 Email: kdfw.mentalhealth@gmail.com
We use cookies to analyze website traffic and optimize your website experience. By accepting our use of cookies, your data will be aggregated with all other user data.